4050세대라면 퇴직 후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게 바로 ‘이 돈, 어떻게 굴릴까?’라는 문제일 거예요. 실제로 많은 분들이 퇴직금을 받은 후 막상 사용할 곳은 딱히 없는데, 어디에 넣어야 손해 보지 않을지 몰라서 그대로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그런 고민을 줄이기 위해, 2025년 기준 가장 현실적이고 많이 쓰이는 퇴직금 운용 전략 3가지를 소개해보려고 해요. 저 또한 25년 3월자로 퇴사하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퇴직금을 굴리고자 합니다.
1. CMA 통장 – 유동성과 이자, 둘 다 챙기기
요즘은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나오는 CMA 통장이 인기입니다. 특히 토스, 카카오페이, 미래에셋 같은 증권사와 연결된 CMA는 금리도 높고, 체크카드처럼 쓸 수 있어서 꽤 실용적이더라고요.
2025년 4월 기준, 미래에셋 CMA는 연 2.75% 정도예요. 우리WON CMA Note 상품은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이라 원금보장도 되기 때문에 인기가 높답니다.
많은 분들이 퇴직금 일부를 여기에 넣고 ‘비상금 + 이자 수익’ 구조를 만드시더라고요. 수시 입출금이 되니까 급하게 자금 쓸 일이 있어도 안심이 되고요.
주의할 점은 딱 하나! CMA는 예금자 보호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. RP형이라면 그나마 안전하긴 하지만, 그래도 신뢰할 수 있는 증권사를 고르는 게 중요해요.
2. 고금리 정기예금 – 은행다운 안정감
‘나는 좀 더 확실하게 맡기고 싶다’는 분들은 고금리 예금 상품을 많이 찾으세요. 특히 요즘은 저축은행이나 모바일 뱅크에서 연 4.5~4.9%까지 주는 상품도 꽤 있거든요.
예를 들어 토스뱅크는 1년 예치에 연 4.5%, 웰컴저축은행은 4.9% 정도까지도 올라갔어요. 단, 예금자 보호는 1인당 5천만 원까지니 금액이 많다면 나눠서 여러 은행에 넣는 게 좋아요.
이 방법의 장점은 ‘확실하다’는 거예요. 매달 얼마나 이자가 나올지 정해져 있고, 변동도 없으니까요. 다만, 중간에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땐 이자를 거의 못 받는다는 점, 꼭 기억하셔야 해요.
3. 배당 ETF – 매달 생활비처럼 들어오는 수익
주식은 어렵고 불안하다는 분들도 많지만, 요즘은 배당 ETF처럼 일정 수익이 꾸준히 들어오는 상품이 있어서 눈여겨보시는 분들이 늘고 있어요. 특히 ‘월 배당형 ETF’는 매달 배당이 들어오니까 퇴직 후 생활비 대체용으로 좋죠.
예를 들어 TIGER 미국배당성장 ETF는 월배당형이고, 연 4.2% 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요. 3천만 원 넣으면 한 달에 10만 원 전후의 배당이 생기니까, 적지 않죠.
물론 원금 손실 가능성은 있어요. 다만, 채권 ETF나 고배당 ETF처럼 변동성이 낮은 상품을 고르면 리스크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고, CMA 통장과 연계하면 이자 + 배당의 조합도 만들 수 있어요.
그럼, 절세는요? 세금도 신경 쓰셔야 해요
이자와 배당으로 연간 2,000만 원 이상 벌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. 이건 갑자기 세금 폭탄 맞을 수도 있어서 미리 대비하는 게 중요해요.
ISA 계좌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어요. ETF, 예금, 펀드를 한 번에 담고, 400~600만 원까지는 세금 없이 수익을 가져갈 수 있죠. 또 IRP, 연금저축처럼 세액공제 가능한 상품도 고려해볼 만합니다.
한 번에 정리하는 2025 퇴직금 굴리기 체크리스트
- ✅ 급한 돈은 CMA에 넣어두기
- ✅ 안정 자산은 정기예금에 나눠 넣기 (예금자 보호 5천만 원 단위)
- ✅ 생활비 목적이라면 월배당 ETF 도입하기
- ✅ 세금 줄이려면 ISA/IRP 활용 꼭 하기
요즘 퇴직금은 그냥 넣어두면 안 됩니다. 이자가 붙고, 수익이 들어오고, 돈이 나 대신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해요. 이 글을 읽고 계신 지금이 바로 시작하기 딱 좋은 타이밍이에요.
👉 이전 글: CMA 통장 비교 바로 보기
2025 CMA 통장 추천 순위 (금리 비교, 증권사 특징, 가입팁)
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에 현금을 단 하루라도 그냥 두는 건 손해입니다. 특히 단기 자금을 굴리기 위해 많은 분들이 찾는 것이 바로 CMA 통장입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4월 기준으로 가장 주목받
factcomm.com
👉 다음 글에서는 “ISA 계좌로 절세하면서 자산 불리는 법”을 알려드릴게요. 한 번에 이해되는 쉬운 설명으로 준비할 테니, 꼭 이어서 봐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