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가장 막막한 게 바로 용어입니다. “공매도?”, “PER?”, “매수세 유입?”…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뉴스를 보면 헷갈리기만 하죠. 이 글에서는 초보 주식 투자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용어 50개를 상황별로 정리해서 쉽게 설명합니다. 실전 투자에 바로 적용 가능한 내용만 정리해 주식 초보자 맞춤형으로 구성했습니다.
[목차]
- 1. 기본 투자 용어 (기초 개념)
- 2. 주식 사고 팔 때 용어 모음
- 3. 재무 분석 용어
- 4. 뉴스 & 분석 보고서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
- 5. ETF · 인덱스 관련 용어
- 6. 주식 초보자가 자주 헷갈리는 용어
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“모르는 용어”들이 가장 큰 장벽으로 다가옵니다.
처음 듣는 단어들이 뉴스, 증권앱, 유튜브 영상마다 쏟아지는데…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라 당황했던 경험,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?
그래서 오늘은 초보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주식 용어 총정리를 준비했습니다.
상황별로 구분하여 50개 이상의 필수 용어를 쉽게 설명드릴게요.
1. 기본 투자 용어 (기초 개념)
- 매수: 주식을 사는 것
- 매도: 주식을 파는 것
- 종목: 삼성전자, LG 전자와 같이 주식 이름
- 예수금, 출금 가능 금액: 내 주식 계좌에 있는 돈
- 보유 수량: 현재 내가 갖고 있는 주식의 수량
- 호가: 사고팔 때 제시하는 가격
- 체결: 매수자(주식을 사는 사람)와 매도자(주식을 파는 사람)가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
- 주문유형: 지정가 / 시장가 주문 등
- 지정가: 내가 정한 가격 (현재 삼성전자 가격이 5,000원인데 난 지정가 6,000원으로 해야지)
- 시장가: 현재 시장에서 사고 파는 가격(현재 삼성전자 가격이 5,000원에 사고 파네)
- 계좌평가금액: 현재 보유 주식의 전체 가치
- 시가: 해당 거래일에 처음으로 거래된 가격
- 종가: 해당 거래일에 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
- 고가: 하루 중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
- 저가: 하루 중 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
2. 주식 사고 팔 때 용어 모음
- 호가: 내가 사거나, 팔고 싶은 가격
- 체결가: 실제 거래된 가격
- 수익률: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수익이 몇 %인지 보여주는 지표
- 수수료: 증권사에 지불하는 중개 수수료
- 거래세: 주식을 팔 때 정부에 내는 세금
- 제비용: 수수료, 거래세 외 모든 부대 비용
- 매도가능수량: 지금 팔 수 있는 주식
- 매수가능금액: 내가 살 수 잇는 금액
- 지지선 / 저항선: 가격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거나 올라가기 힘든 구간
- 손절 / 익절: 손해보고 매도 / 이익보고 매도
- 물타기 / 불타기: 하락 시 추가 매수 / 상승 시 추가 매수
- 스캘핑 / 데이트레이딩: 초단타 매매 / 하루 내 거래 완료
- 장기투자: 1년 이상 보유
3. 재무 분석 용어
- PER: 주가수익비율 (낮을수록 저평가)
> 이 회사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보여주는 지표 - PBR: 주가순자산비율 (1 이하일수록 저평가)
> 이 회사 주가가 자산(순자산)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보여주는 비율 - ROE: 자기자본이익률 (높을수록 수익성 우수)
> 투자자 돈(자본)으로 얼만큼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비율 - EPS: 주당순이익
> 한 주당 얼만큼의 순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숫자 - DPS: 주당배당금
> 한 주당 얼마의 배당금을 주는지 나타내는 지표 - 배당수익률: 주가 대비 배당금 비율
4. 뉴스 & 분석 보고서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
- 공매도: 없는 주식을 빌려 먼저 판 뒤 나중에 사서 갚는 전략
- 우량주: 안정적인 실적과 배당을 가진 주식
- 테마주: 특정 이슈로 주목받는 주식
- 주도주: 시장을 이끄는 핵심 종목
- 단기 급등주: 며칠 새 급격히 오르는 종목
- FOMC: 미국 기준금리 결정 회의
- CPI: 소비자 물가 지수
- GDP: 국내 총 생산
5. ETF · 인덱스 관련 용어
- ETF: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
- 인덱스: 시장 평균 지수 (코스피, 나스닥 등)
- 추종지수: ETF가 따라가는 기준 지수
- 레버리지 ETF: 2배 이상 수익률 추구 상품
- 인버스 ETF: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이 나는 상품
6. 주식 초보자가 자주 헷갈리는 용어
- 장전 / 장후 시간외 거래: 정규시간 외 주식 거래
- 유상증자 / 무상증자: 자금 모집 / 보유주식 비례 배정
- 감자 / 액면분할: 주식 수 조정 방식
- 배당락 / 권리락: 배당·주식 분기 기준일 이후 주가 조정
- 분기보고서 / 사업보고서: 기업의 재무·사업 정보 공시
✅ 마무리 요약
주식 초보자라면 위 용어들을 반드시 숙지해야 뉴스/보고서/차트 해석이 가능합니다.
처음엔 외워야 할 게 많지만, 실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용어들이니 금방 익숙해질 수 있어요.
👉 주식 투자 공부를 처음 시작하신다면, 가장 먼저 “주식 용어 정리부터 완성”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